전체 글
-
셀트리온(CELLTRION) 주가, 또 무슨 일이야?카테고리 없음 2023. 6. 27. 23:37
2023년 6월 27일자 기준 셀트리온(CELLTRION) 의 그룹의 주가가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셀트리온은 약 9% 하락, 셀트리온 헬스케어는 약 8% 하락, 셀트리온 제약은 약 6% 하락했습니다. 이번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보고 있는 내용은 미국 보험 등재 이슈 입니다. 옵턴 RX라는 미국의 보험약제관리기업 (PBM)은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의 추가 등재를 결정하며 암젠, 산도즈, BI등을 확정 지었다고 보도가 된 내용이 주요 원인으로 보여집니다. 이게 무슨 뜻인지 바로 이해가 가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풀어서 설명 드리자면, 미국의 PBM은 의약품 결제 중간자 역할을 하는 민간 기업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말은 PBM이 인증하고 등록된 제품이어야 매출 성장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뜻 입니다. 하지만 ..
-
금본위제(Gold Standard)? 쉽게 이해하자카테고리 없음 2023. 6. 27. 10:23
요즘 경제 뉴스를 보면 환율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물론 다음번에는 달러가 왜 기준이 되었는지, 왜 기축통화가 되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지만, 이번에는 그 전에 먼저 이해하고 가면 좋은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금본위제(Gold Standard)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익숙하지 않은 분도 있을 것 같은데, 쉽게 얘기하면 '금이 근본이 되는 제도' 라고 생각하면 단어 자체를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경제가 흔들릴 때마다 '금 사야 한다' 라는 이야기도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왜지? 라고 궁금증이 든 적이 있다면 이 글을 이해하시는데 도움도 되고, 재밌게 읽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금본위제(Gold Standard)? 금본위제(Gold Standard)는 역사를 통틀..
-
PER.PBR.ROE 들을 때 마다 매번 헷갈린다면?카테고리 없음 2023. 6. 27. 00:04
이번에는 주식 투자를 한 번이라도 해보신 분들은 들어봤을 용어, PER.PBR.ROE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주식 투자를 하면서 모두들 조금씩 공부를 하게 되고, 처음 주식 공부를 하다보면 접하는 용어들이라 익숙하겠지만 자세한 뜻과 그 차이는 모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PER(주가 수익 비율) 주가수익률(PER)은 주당 시장가격과 주당이익(EPS)을 비교해 기업의 주식평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재무지표입니다. 주당 시가를 EPS로 나눠 계산합니다. PER는 회사가 창출한 수익의 1달러당 얼마를 투자자가 기꺼이 지불하는지 나타냅니다. 예: 한 기업의 주식이 현재 주당 50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그 EPS는 5달러라고 가정합니다. 이 경우, PER는 50달러(1주당 시장가격)을 ..
-
실업률(Unemployment Rate)에 대해 쉽게 이해하자카테고리 없음 2023. 6. 24. 10:34
이번에는 실업률과 고용률의 정의, 실업률의 종류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업률의 정의 실업률은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지만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노동력 비율을 평가하기 위한 조치이며, 실업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실업자 수를 총노동력으로 나누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실업률은 경제에서 노동시장의 건전성과 기능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사용 됩니다. 고용률과 실업률의 차이 고용률은 근로연령인구(통상 15세 이상 개인)가 고용된 비율을 뜻 합니다. 이것은 총 노동 연령 인구 대비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반대로 실업률은 실직한 노동력과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는 노동력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고용률은 취업인구 비율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실업률은 특히 적극적으로 ..
-
수요와 공급 법칙? 예시로 쉽게 이해하자카테고리 없음 2023. 6. 23. 06:26
이번에는 수요와 공급 법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깊게 들어가면 생각하며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으나 이번에는 예시 위주로 설명을 드릴 예정이니 부담 없이 읽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시를 들어 설명하기 전에 정의에 대해서 먼저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어렵지 않으니 상황을 상상하면서 편하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수요와 공급 법칙(law of demand and supply) 수요와 공급의 법칙은 경제학에서 기본 원칙으로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과 공급자가 생산하고 판매하기를 원하는 수량, 소비자가 구입하기를 원하는 수량과의 관계를 기술합니다. 가격과 공급량 사이에는 반대의 관계가 있고 가격과 수요량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습니다. 공급의 법칙에 따르면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
-
GDP,GNP,GNI 쉽게 이해하기카테고리 없음 2023. 6. 22. 22:25
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던 용어인데, 이게 뭐냐고 누군가에게 설명할 때는 정의가 헷갈리는 경제 용어를 가져왔습니다. 바로 GDP(국내총생산), GNP(국민총생산), GNI(국민총소득) 입니다. 들어는 봤지만,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지 못하는 3가지 용어를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글을 준비 했으니 편한게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GDP(국내총생산)과 GNP(국민총생산)가 무엇인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간략하게 이해하시는게 중요합니다. GDP(국내총생산)과 GNP(국민총생산)은 모두 한 국가의 경제 규모와 성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경제 지표 입니다. 이들은 유사하지만 정의와 고려하는 요인에 주요 차이가 있습니다. GDP(국내총생산) GDP(국내총생산)는 특정 기간(통상적으로 1년..
-
인플레이션(Inflation)? 디플레이션(Deflation)? 무슨 차이지카테고리 없음 2023. 6. 21. 23:01
경제 뉴스를 보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이 있는데, 그 중에 '인플레이션(Inflation)' 과 '디플레이션(Deflation)'이라는 단어는 많이 등장하기도 하고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는 용어들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라는 단어를 모르면 뉴스를 보더라도 '검은건 글자요, 흰건 종이로다' 라는 생각만 들게 될 겁니다. 이번 글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정의와, 사례, 둘의 차이점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인플레이션(Inflation) : 상품이나 서비스의 일반적인 가격 수준이 일정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는 의미 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물가가 오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보통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같은 물가지수의 변화율을 계산하면..